주 안에서/매일 성경을 읽읍시다.

고난에 담긴 긍정적 의미는 무엇인가?

小潭(炯曉) 2009. 6. 26. 18:26

 

44

 

 

 

이백구십삼일 에스겔 33:1-34:16

베드러전서 1:1-112 잠언 19:8-18

 

고난의 긍정적 의미 (벧전 1:6-7)

 

초대교회 당시 소아시아 지역의 기독교인들은 네로 황제의 폭정 밑에서 극심한 박해를 받았습니다. 이에 베드로는 성도들에게 긍정적인 면에서 세상에서 당하는 고난을 기쁨으로 감당하려고 권면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오늘날 우리에게 다가오는 고난이 긍정적인 의미는 무엇일까요

 

첫째, 새로운 삶의 창조에 대한 도전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성장, 발전시키기 위해 우리에게 고난을 주십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고난이 다가왔을 때, 우리는 새로운 삶을 창조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 하나님께 기도하면서 고난에 도전해야 합니다.

 

둘째, 인격 변화의 유용한 도구가됩니다. 성도는 고난을 통해 인간적인 것들이 찢겨 나가는 아픔을 통해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아가게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고난을 통하여 말씀의 검과 성령의 능력으로 그리스도인들을 예수님의 모습으로 다듬고 계십니다.

 

셋째 , 고난은 강인한 인격을 만듭니다. 고난은 신앙의 밥입니다.밥을 먹지않은 사람이 연약한것처럼 ,고난을 먹고 소화시키지 않는 신앙인은 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역경을 많이 당하고 기도를 통해그 역경을 이긴 신앙인은 강인한 힘이 있어 어떠한 경우에라도 파멸당하지 않습니다.

 

넷째, 하나님의 축복을 감사하게 합니다 세상 사람은 고난을 당할 때 원망하고 불평하여 마음에서부터 병들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고난이 하나님의 축복임을 깨닫고 감사합니다.

 

계속된 고난은 인간을 파멸시킵니다. 그러나 계속된 축복도 인간을 파멸시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고난과 축복을 번갈ㅇ아 주십니다. 우리가 고난에 잘 대처하면 이 땅에 살 동안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닮아가며 승리하는 살을 살 수 있습니다.

 

묵상: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겔 34:1-16)

 

2절 양무리를 돌보지 않은 목자들을 심판하는 분이시다.

에스겔 당시의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백성들을 돌보지 않고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에 급급했다.

하나님께서는 이들을 심판하시겠다고  말씀하셨다.

나는 내게 맡겨진 사람들의 영적인 삶을 돌보는데  책임을 다하고 있는가?

 

12-14절, 친히 잃어버린 양을 찾고 건져내는 분이시다.

선한 목자이신(요10:11) 주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살아갈 때,

우리는 부족함이 없는 삶을 살게 된다

. 나는 몸ㄱ자되신 주님의 인도하심에 기꺼이 따르는 삶을 살고 있는가?